헬스체크를 통해 장애가 발생한 서버를 확인하고 해당 서버로 트래픽을 보내지 못하게 하는 역할
헬스 체크
● 전송 주기와 재전송 횟수 등을 설정한 이후 반복적으로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것 ● 헬스 체크를 통해서 정상적인 서버 또는 비정상적인 서버를 판별한다. ex ) AWS L7스위치를 이용한 로드밸런싱 : ALB라는 컴포넌트를 통해서 구축한다. L4스위치를 이용한 로드밸런싱 : NLB 컴포넌트를 통해서 구축한다.
② 전송 계층
L4 스위치( 로드밸런서)
패킷의 IP주소와 Port번호를 참고해서 트래픽분산을 할 수 있다.
전송계층의 TCP, UDP 등의 헤더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판단해서 분산이 가능하다
L7스위치와 똑같이 헬스체크가 가능하다.
③ 인터넷 계층
라우터
라우팅 :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
라우터는 라우팅을 해주는 기기를 말한다.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치끼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패킷소모 최소화”, “경로 최적화"하는 장비
L3 스위치
L2 스위치의 기능 + 라우팅을 하는 장비
라우팅테이블을 참조해서 IP패킷에 IP주소를 담아 보낸다
④ 데이터 링크 계층 ( 데이터링크계층 + 물리계층 )
A. 데이터 링크 계층
‘이더넷 프레임’을 통해 에러 확인, 흐름 제어, 접근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
L2 스위치
장치들의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을 통해 관리하며 인터넷계층에서 받은 패킷을 기반으로 이더넷프레임을 만들어 목적지MAC주소로 패킷을 보내주는 역할
브리지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
통신망의 범위를 확장하고 서로다른 LAN을 기반으로 하나의 통신망을 구축할 때 쓴다.
B. 물리 계층
무선 LAN과 유선LAN을 통해 0과 1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보내는 계층
NIC ( NIC, Network Interface Card )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PC에 설치된 회로기판
PC 고유의 식별번호인 MAC주소가 있다
리피터
들어오는 약해진 신호 정도를 증폭하여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장치
AP ( access point )
패킷을 복사하는 장치
AP에 유선LAN을 연결한 후 무선 LAN기술을 기반으로 무선 네트워크망을 구축한다,
2) 유선 LAN
① 전이중화 통신
양쪽 장치가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
송신로와 수신로로 나눠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통신한다.
현대의 고속 이더넷은 전이중화기반의 통신을 한다.
이더넷 : IEEE802.3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이중화 통신을 한다.
* IEEE802.3 프로토콜: 어떤 구조를 기반으로 할 것인지, 케이블의 최대 전송량, 어떤 케이블만이 가능하도록 할 것인지 등을 정한 규칙
CSMA/CD (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
유선 LAN의 반이중화 통신중 하나 -> 과거에 사용했음
회선이 사용되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내고 충돌이 발생한다면 일정 시간 이후 재전송하는 방식
수신로와 송신로를 나누지 않고 한 경로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충돌에 대비해야했다.
2) 무선 LAN
① 반이중화 통신
양쪽 장치는 서로 통신할 수 있지만 동시에는 통신할 수 없어 한번에 한방향만 통신할 수 있는 방식
장치가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면 응답하기 전에 전송이 완료될떄까지 기댜려야한다.
둘 이상의 장치가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발생 -> 충돌방지 시스템 필요
CSMA/CA
반이중화 통신 중 하나
장치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일련의 과정을 기반으로 사전에 가능한 한 충돌을 방지하는 방식
과정 1. 데이터 송신전 무선매체 살피기 2. 캐리어 감지 : 회선이 비어있는지 판단 3. IFS: 랜덤값을 기반으로 정해진 시간만큼 기다림, 만약 무선매체가 사용중이면 점차 그 간격을 늘려가며 기다림 4. 이후 데이터 송신